목록만물심심이 IT지식창고 (21)
만물심심이
IT전문컨설턴트▶ IT심심이쌤▶ IT용어사전 ▶ 입니다. HUB - 전기신호를 증폭시켜 전달하는 1계층의 대표 장비,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여러 대의 컴퓨터,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는 장치 Bridge -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LAN과 LAN을 연결하는 2계층 통신 장비 IOS(Internetwork Operating System) - CISCO 사에서 장비를 구동하기 위해 제공하는 운영체계 Routing -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Static - 네트워크 관리자가 패킷의 경로를 직접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 Dynamic - Router가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경로를 학습 하는 것 Ethernet - 이더넷의 2계층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정해진 규격 M..
IT전문컨설턴트▶ IT심심이쌤▶ IT용어사전 ▶ 입니다. PPP(Point-too-Point Protocol) - 동기식 또는 비 동기식 회선을 통해 router-to-router또는 host-to-network 연결방식을 제공하는 프로토콜 Frame-relay - 가상회선 기반의 패킷 교환 서비스로 하나의 물리회선으로 여러 개의 논리적인 채널을 지원하는 기술 Port number - OSI의 4계층 전송 계층의 주소로 소프트웨어적인 입출력 인터페이스 Packet - OSI 3계층에서 테이터를 부르는 단위 (Datagram이라고도 함), 패킷은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단위를 언급할 때에 자주 사용되는 언어임 CSMA/CD(Carrier Sense Multiple Access/Collision Detecti..
IT전문컨설턴트▶ IT심심이쌤▶ IT용어사전 ▶ 입니다. NIC(Network Interface Card) -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Port - Device 장치 간에 연결을 위해서 사용하는 연결단.(USB Port, LAN Port) - TCP/UDP에서 상위 계층과의 연결을 위해서 사용하는 주소 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 - IP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할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 Telnet -표준 원격 접속 프로토콜 - 텔넷은 원격 터미널 연결을 위해서 사용되며 이것을 이용하면 사용자들이 원격 시스템으로 로그인해 시스템 리소스를 마치 로컬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이 사용가능 함 ICMP(Internet Control M..
IT전문컨설턴트▶ IT심심이쌤▶ IT용어사전 ▶ 입니다. Router(라우터) -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데이터를 목적지 까지 전달하기 위한 장치 -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 IP주소를 활용하게 됨 Switch(스위치) -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데이터를 목적지 까지 전달하기 위한 장치 -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MAC 주소를 활용하게 됨 WWW(World Wide Web. W3) -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을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전 세계적인 정보 공간. 간단히 Web이라 부름 Interface -유형 또는 무형의 장치 간에 연결하고 통신하기 위한 접속장치 Internet -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하나의 통신망 안에 연결하고자 하는 의미로 Inter + Network를 줄..
IT전문컨설턴트▶ IT심심이쌤▶ IT용어사전 ▶ 입니다. IP Address -네트워크에서 Host장비를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이 되는 주소 Subnetmask -서브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하며, 보통 255.255.255.0의 형태로 되어 있음 Host -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모든 유형의 장비들 Gateway -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기 위한 출입문이 되는 장비 또는 IP주소를 말함 DNS(Domain Name System) - 도메인 이름을 PC와 같은 장비들이 인식 할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 HTTP(Hyper-Text Transfer Protocol) - 웹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통신 Protocol Protocol - 네트워크 통신을 ..
IT전문컨설턴트▶ IT심심이쌤▶ IT용어사전 ▶ 입니다. Cable - Device장치 간에 연결하기 위한 선 Device - 모든 유형의 하드웨어 장치 (컴퓨터, 모니터, 키보드, 마우스 등) Ethernet - LAN에서 Host장비 간에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Protocol - OSI 7 Layer에서 2계층에 해당하는 Protocol Firewall - 승인되지 않은 외부와의 통신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Device 또는 응용프로그램 LAN(Local Area Network) - 작은 범위의 네트워크 영역. 보통 내부 네트워크 영역을 LAN이라고 함 WAN - 큰 범위의 네트워크 영역. 보통 외부의 네트워크 영역을 WAN이라고 함 IOS(Internetwork Operating S..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IT전문컨설턴트▶ IT심심이쌤▶ IT용어사전 ▶ 입니다. Application -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각종 응용프로그램을 Application 이라고 하나 네트워크에서는 OSI 7 Layer의 최상위 계층인 7계층을 Application이라고 함 OSI 7 Layer -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 간 상호 작동하는 방식을 정의해 놓은 것입니다. 이는 국제표준기구인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(ISO)라는 곳헤서 정의하였고 각 계층은 아래와 같음 - Application Layer (응용프로그램 계층) - Presentation Layer (표현 계층) - Session Layer (연결 계층) - Transpor..
IT전문컨설턴트▶ IT심심이쌤▶ IT용어사전 ▶ 입니다. DNS 영역 - 주 영역 : 레코드의 생성, 수정 삭제가 가능한 영역, 실질적으로 도메인 이름으로 서비스하는 영역 에이징 - 레코드가 얼마나 DNS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나타냄 DHCP 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 - 윈도 NT를 기본으로 하는 근거리망(LAN)에 접속하는 컴퓨터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마이크로소프트사 기술 -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DHCP 서버가 자신의 목록에서 IP 주소를 선택하여 할당해주는 것을 말함 IPSEC ( Internet Protocol Security Protocol ) - 암호화 통신을 위한 보안프로토콜의 모음 VPN ( Vitual Private Network ) -..
IT전문컨설턴트▶ IT심심이쌤▶ IT용어사전 ▶ 입니다. 섀도 복사본 - 특정한 파일의 복사본을 만들어 백업하여 복사본을 만든 시점의 상태로 볼 수 있음 WSUS ( Windows Server Update Service ) - Windows를 사용하는 인트라넷 환경에서 Windows Update를 지원해주기 위한 서비스 Windows Server Core Version - CLI형태로 Windows를 제공해주는 서비스 DNS ( Domain Name System) - 컴퓨터 이름을 도메인 이름에 포함시켜 이용하는 방식 -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이름은 (.)으로 구별됨 Root Hint - DNS 루트 서버의 IP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 Recursive Query ( 권한 있는 응답 ) - ..